본문 바로가기

맛쭘뻡

로서 로써 차이점

~로서와 ~로써는 발음도 비슷하고 쓰임새도 비슷하게 느껴져서 혼동이 많이 되는 맞춤법입니다.

'로서'와 '로써'의 쓰임을 한글 맞춤법 제57항(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.)에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어 이를 살펴보시면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 


-(으)로서’는 ‘어떤 지위신분이나 자격을 가진 입장에서’란 뜻을 나타내며,

-(으)로써’는 ‘재료, 수단, 방법’을 나타내는 조사다.


구분하는 방법은

당연한 말이지만 '로서' 앞에 신분이나 지위에 해당하는 단어가 오면 '로서'

"~을 사용해서", "~을 방법으로" 가 어울린다면 '로써'를 사용하면 됩니다.

하지만 모든 경우에 통용되진 않습니다.

그런 경우에는 작은 꿀팀(?)이 존재하는데 "서"나 "써"를 제외하고 그냥 "로" 라고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

예문을 알아볼게요!

― (으)로서 예문―

① (~가 되어서)

-교육자로서, 그런 짓을 할 수 있나?

-사람의 자식으로서, 인륜을 어길 수는 없다.

-정치인으로서의 책임과 학자로서의 임무

② (~의 입장에서)

-사장으로서 하는 말이다.

-친구로서,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.

-피해자로서 항의한다.

③ (~의 자격으로)

-주민 대표로서 참석하였다.

-위원의 한 사람으로서 발언한다.

④ (~로 인정하고)

-그를 친구로서 대하였다.

-그분을 선배로서 예우(禮遇)하였다.

― (으)로써 예문 ―

① (~를 가지고)

-톱으로(써) 나무를 자른다.

-꾀로(써) 이긴다.

-동지애로(써) 결속(結束)한다.

② (~ 때문에)

-병으로(써) 결근하였다.

'맛쭘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일부러 일부로  (0) 2020.04.24